본문 바로가기

#배우다/행정학

[공무원 행정학] 갈등과 조직 혁신 || 기출 및 포인트 정리

현재 업데이트 중이며, 복습과 함께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글입니다.

개인적인 복습 차원에서 쓰는 글입니다.

오류가 있다면 가감없는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모바일보다는 PC 화면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권력과 갈등

 

합법적 권력 권한과 유사, 상사가 보유한 지위
보상적 권력 다른 사람에게 승진, 급여 등을 제공하는 능력
강압적 권력 ( ≠ 카리스마 ) 처벌 능력
전문적 권력 의사, 변호사 등이 지닌 특별한 지식에 기반한 권력
준거적 권력 닮고 싶다... 갖고 싶다... 우상처럼 여기는, 카리스마적 권력 

 


갈등에 관한 종적 변화이다.  (Robbins의 분류)

2번 선지를 주의해야 하는데.
고전적 조직이론은 '갈등을 나쁘게 보았기에',
'정상적인 조직은 갈등이 없을 것 - 갈등을 중요시하지 않음'
즉 갈등을 관리해야 한다는 개념이 크게 없었다. 

3번의 경우, 갈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관점의 변화가 이뤄짐. 

4번과 같은 현대적 경향에서는 아래와 같이 갈등을 바라봄 - 갈등을 일부러 조성할 필요도 있다!


공공의 적... 실제 외교나 정치에서도 매우 많이 나타나는 동서고금 불변의 진리이다.


구조적 분화 - 부서가 다양해짐 - 자기 부서만 생각하고, 다른 부서 형편은 모름 - 부처할거주의 - 갈등 발생


아주 좋은 문제!

갈등의 해소 전략만 알아둘 것이 아니라, 원인도 알아야 한다.

ㄱ. 인력도 자원이다.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한 갈등
ㄴ. 업무 조정으로 인해 생기는 갈등 - 업무 그 자체에 얽힌 요인 
ㄷ. 이것도 업무 일정으로 인해 생기는 갈등 - 업무 그 자체에 얽힌 요인 
ㄹ. 5억원이라는 한정된 자원.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한 갈등 


다른 건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 타협과 협동의 구분이 필요하다. 
선지 구성도 치졸하게 'ㄴ' 갖고 갈등하게 만듦 ㅋㅋㅋ! 



ㄴ - 서로 양보한다는 건 어느 정도 무언가를 포기한다는 것 - 타협 (그냥 중간 정도만 하죠 피곤한데...)

 


서로 윈윈하는 전략 - 협동 (양보 없이 모두가 100을 가져가게끔 파이를 늘린다)


공동의 상위 목표 강조. 행정학은 이런 식의 낚시가 많으니 주의.



좌측이 배분, 우측이 통합

통합형 협상 - 윈윈 전략, 정합적인 방식을 이용함. 즉 파이를 늘리는 것.
배분형 협상 - 제로섬 방식, +가 있으면 -이 있음. 즉 파이를 나누는 것. 


 

사실 국어문제임... '비교 결과 알 수 없다...' - 비비교성 

비수락성? - 팀원들이 수락하기 싫어함! - 대안들이 기준 충족 ㄴㄴ
불확실성 - 대안의 결과 자체를 알 수 없는 경우


소통

 

언제 또 나올지도 모르니... 바퀴형과 개방형을 잘 구분하자. 
바퀴형 - 구심점 역할을 하는 리더가 존재함.
개방형 - 단일의 리더가 없이 원형으로 퍼짐 (원탁 모양)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를 열심히 공부한 분이라면 익숙할 '위르겐 하버마스'
비판 이론에서도 나오는 분이지만... 담화 윤리의 거두.

미셸 푸코는 포스트모더니티를 대표한다고 보면 된다. 합리성과 거리가 멂.


더글라스의 문화 이론

집단성이 높다

집단성이 낮다

사회 역할이 강하다

관료주의
법 앞의 평등

전체주의
복종과 폭력

사회 역할이 약하다 

공동체주의

개인주의 · 시장주의


조직의 혁신

나중의 예산 파트에서도 간접적으로 연계되니까 중요 중요! 용어가 헷갈릴 수 있다.


MBO TQM OD SM BSC
목표관리
Management
by Objective
총체적 품질 관리
Total Quality Manage
조직 발전
Organization
Development
전략 관리 
Strategic
Management
균형성과지표
Balanced Score Card
미시적, 단기적 지표       장기적, 거시적 지표
Y론적 인간관 바탕      
조직의 내부, 모두의 참여 조직의 외부, 고객의 평가 외부 전문가의 주도    
상향적, 분권적   하향적   하향적
결과 중시 과정의 과학적 완벽성 중시       
사후적 관리 사전예방적 관리     상부구조 : 재무 - 고객
개인별 보상 (개별) 집단의 노력(팀 활동 중시) 행태 변화    하부 구조 : 과정 - 학습
폐쇄성        

 


MBO - 목표관리제

목표관리제는 하의상달, 상향적이고... 참여적인 분위기를 중시

 

 


TQM - 총체적 품질 관리제

6시그마 운동도 TQM의 맥락에 닿아 있음

 

MBO와 주로 비교하는 형태로 출제된다. 
TQM은 외부지향적이며, Y론 바탕이다. 

 

TQM은 외부지향적이다.

 

개인이 아니라, 조직을 관리하는 매니저의 책임

어렵게 구성될 수 있는 선지! 모든 구성원은 한편으로는 고객이다!

 


OD - 조직 발전

이건 인사 파트에서 더 많이 나오는 개념.. 감수성 훈련은 별도의 공간에서 하므로, Off-JT


SM - 전략 관리

이런 건 경영학과 학생이면 바로 풀 것 같은데... 본인은 미대 출신이라 잘 몰?루 ^^; ㅎㅎ 

매트릭스를 머리 속에 잘 담자!

SO - WT : 공격적 - 방어적 ... 의 대립쌍이 나오고 
WO - ST : 방향전환 - 다양화 ... 의 대립쌍이 나온다. 

 

Strongness

Weakness

Opportinity

공격적

방향전환

Threat

다양화

방어적

대안을 모색하고 그 대안을 평가하는 과정, (ㄹ-ㅂ), 집행은 가장 마지막 ...
사실 개념을 몰라도 선지로부터 역추론해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풀 수 있는 문제.


BSC - 균형성과지표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  -  재. 고. 과. 학.


BSC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단어는 '중시'와 '균형'이다. 
이 방법론은 무엇 하나를 더 중시한다는 게 없다. 어느 하나가 우선시되는 게 아니라,
내부와 외부, 그리고 과정과 결과 모두 균형을 갖추는 걸 중시함!


정부 부문 - 재무적 관점보다, 공공 서비스의 수혜자인 고객의 관점이 더 중요하다.


위계적인 체제들의 개념 사이에서 균형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후행 지표 = 결과

 

결과인지 과정인지, 가치지향인지 행동지향인지 잘 구분하도록! 

 

상부구조

후행지표

결과 지표

가치지향 무 관점 정부 조직의 궁극적 목표, 재무적 관점은 제약 조건으로 작용함

민간 부문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 (국회8)

객 관점 


공공 부문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 

하부구조

선행지표

원인 지표

행동지향 정 관점  일처리 방식 
습 관점
변화와 개선 능력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미래의 관점 

 


위에도 써 놨지만 진짜 낚시 자주 나옴 ㅋㅋㅋ
고객의 관점을 가장 우선시한다!
재무적 관점이 궁극적 목표라고는 하지만, 가장 중시하는 건 고객의 관점!


그 외 특기할 만한 문제

사명이해 모호성 - 자신의 사명이 무엇인지,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모름
지시적 모호성 - 지시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전환하는 걸 헷갈려 함
평가적 모호성 - 우리가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평가하기 어려움
우선순위 모호성 - 우선순위로 해야 할 목표가 뭐지? 


답은 ③ ...
쉽게 생각해서, 위임을 했으니 그걸 통제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조직의 창조 - 리더십을 유지할 수 있나? 리더십의 위기
지시 - 시킨 것만 해야 하나? 재량은 없는 걸까? 자율성의 위기
위임 - 어디까지 통제해야 할까? 통제의 위기
조정 - 어디까지 통솔할 수 있을까? 관료제의 위기
협력 - 에휴 이젠 지침 ㅡㅡ 탈진 


리엔지니어링 - 근본부터 싹 바꾼다! 점증 X ... 급진적인 개혁에 가까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