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엽적으로 출제될 수 있는 부분, 예상 키워드, 고난도 포인트 등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시대에 따라 우선 정리한 뒤, 문화사 혹은 지역사 등 특정 문제 유형에 따라 부가적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기본적인 왕의 순서이지만, 문제 잘못 읽으면 2.를 답으로 고르는 참사
정혜공주와 정효공주는 단골 소재!
정혜공주 -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고분 양식 ... 굴식 돌방무덤과 모줄임천장구조 정효공주 - 당의 영향을 받은 고분 양식... 벽화가 존재함
인명으로 출제될 수도 있음
위 각주처럼, 대무예는 무예에 통달했다~ ... 이렇게 외우면 대무예와 대흠무를 헷갈리는 일은 없을 것 같다!
사료 자체가 중요한데, '고려국왕'이라 스스로 칭하는 문왕과 달리, 일본과 국교를 맺고자 한 무왕은 스스로 '발해왕'이라 칭하며 일본에 대해 굉장히 공손하게 국서를 보냄.
다행히 지문에서는 '해동성국'이라고 칭해 쉽게 선왕임을 알 수 있지만... '대야발의 후손' 이것만 틱 던지면 ㅈ되는 것임다... 근데 진짜 문제로 나온 전적이 있음;;?!!!!
ㄴ. '대야발의 직계' ...
이전 게시글인 '통일신라' 편에서,
문왕 재위 당시 신라에서 일어난 일을 묻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 문제의 경우 2015년 문제... 기출 문제를 잘 공부했다면, 원성왕과 문왕의 관계를 알 수 있으니 맞힐 수 있었을 것 같다. 그 문제는 2020년 문제.
원성왕과 문왕이 생각보다 자주 묶여서 출제되는 것 같다. 이 문제의 1번 선지 역시 원성왕! 4번 선지가 굉장히 생소했을 거 같은데, 이를 '안사의 난'이라 한다. 안사의 난 이후 3. 발해국왕 칭호를 받음 ... - 이래서 일본에 보내는 국서에도 발해국왕 칭호를 쓴 것 같음! 2번 선지 역시 생소할 수도 있는데, 장보고와 연관이 있다. 그렇다면 흥덕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