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다/한국사

[공무원 한국사] 발해 || 기출 및 포인트 정리

추후 자세한 해설 추가 예정~!

 


개인적인 복습용 노트입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인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지엽적으로 출제될 수 있는 부분, 예상 키워드, 고난도 포인트 등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시대에 따라 우선 정리한 뒤, 문화사 혹은 지역사 등 특정 문제 유형에 따라 부가적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기본적인 왕의 순서이지만, 문제 잘못 읽으면 2.를 답으로 고르는 참사


공주와 정공주는 단골 소재!

정혜공주 -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고분 양식 ... 굴식 돌방무덤과 모줄임천장구조
정효공주 - 당의 영향을 받은 고분 양식... 벽화가 존재함 


인명으로 출제될 수도 있음

위 각주처럼, 대무예는 무예에 통달했다~ ... 이렇게 외우면
대무예와 대흠무를 헷갈리는 일은 없을 것 같다!


사료 자체가 중요한데, '고려국왕'이라 스스로 칭하는 문왕과 달리,
일본과 국교를 맺고자 한 무왕은 스스로 '발해왕'이라 칭하며
일본에 대해 굉장히 공손하게 국서를 보냄. 


 

다행히 지문에서는 '해동성국'이라고 칭해 쉽게 선왕임을 알 수 있지만...
'대야발의 후손' 이것만 틱 던지면 ㅈ되는 것임다... 근데 진짜 문제로 나온 전적이 있음;;?!!!!


ㄴ. '대야발의 직계' ... 


이전 게시글인 '통일신라' 편에서,

문왕 재위 당시 신라에서 일어난 일을 묻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 문제의 경우 2015년 문제...
기출 문제를 잘 공부했다면, 원성왕과 문왕의 관계를 알 수 있으니 맞힐 수 있었을 것 같다.
그 문제는 2020년 문제.


원성왕과 문왕이 생각보다 자주 묶여서 출제되는 것 같다. 이 문제의 1번 선지 역시 원성왕!
4번 선지가 굉장히 생소했을 거 같은데, 이를 '안사의 난'이라 한다.
안사의  난 이후 3. 발해국왕 칭호를 받음 ... - 이래서 일본에 보내는 국서에도 발해국왕 칭호를 쓴 것 같음!
2번 선지 역시 생소할 수도 있는데, 장보고와 연관이 있다. 그렇다면 흥덕왕!

안사의 난 발생 - 난으로 인해 상경으로 천도 - 고려국왕 책봉

 

안녹산의 난은 반복되어서 나오는 것 같음!


안사의 난을 평정 - 상경으로 천도 - 국왕으로서의 정통성 확보 - 당으로부터 발해국왕 책봉

 

지엽적인 내용이지만, <구당서>와 <신당서>의 서술 방향이 다르다.

이 문제의 경우 [2] ~ [5]가 워낙 명확해 답이 [1]임을 고를 수 있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