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다/행정학

[공무원 행정학] 예산결정모형과 예산개혁 || 기출 및 포인트 정리

반응형

현재 업데이트 중이며, 복습과 함께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글입니다.

 

개인적인 복습 차원에서 쓰는 글입니다.

오류가 있다면 가감없는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모바일보다는 PC 화면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산결정의 전통적 접근


점증주의 합리주의, 총체주의
다원주의적 정치이론
정치 게임
완벽하고 과학적인 분석 
균형, 형평 파레토최적
사회후생 
정치적 합리성
경제적 합리성
미시적, 상향적
거시적, 하향적
반복 교섭, 참여
계량적 분석 


LIBS, PBS


PPBS, ZBB
재정민주주의 효율성
행정부와 의회의 선형적 함수 관계
결정자의 인지적 한계
이론과 모형
이상적, 혁신적 
체계적인 분석과 탐색 








 

절충적 접근론과 다중합리성 모형 

 


9급에서 나올 일은 거의 없는 문제...

그래도 간략하게 설명해보자면,


윌로비 & 서메이어 - 다중합리성모형


의회가 아니라 관료들의 예산안 편성에 관해 분석한 것!!!!

예산과정은 경제적 기준 외에도 법적, 사회적 ,정치적 형태로도 존재함
관료들의 의사결정은 다중적임
미시적 수준의 예산 과정을 중시함
킹덤의 정책결정 모형(예전에 본 그 정책창 파생 이론!)과 루빈의 실시간 예산모형 통합 


루빈의 예산 운영 모형


[4]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세입을 위해서는 국민을 설득해야 하고 (조세 수취)
세출, 즉 세금을 쓸 때에는 적절하게 선택하여 소비하고,
균형을 갖추기 위해 적절한 제약이 있어야 하고,
정책 집행에 있어서는 책임이 따른다는 것으로 스토리를 만들면 된다.


 

초창기에 배운 공공선택론의 모토를 생각하면 금방 풀 수 있다. 당연히 3번...

이 그래프도! 기억날 것이다... 관료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모형이지, 의회가 아님 ㅠㅠ

루이스를 소재로 이렇게 문제가 나온다면, 저 세 가지만 알면 된다. 
상대적 가치, 증분의 분석, 상대적 효과성 
Merits, Increments, Effectiveness

윌다브스키의 모형  부유함 가난함
재정 예측력이 높음 선진국의 점증예산
도시국가의 양입제출적 예산
Revenue budgeting 
재정 예측력이 낮음  행정능력이 낮은 개발도상국 (중국 등)
보충적 예산 
후진국의 반복적 예산

예산개혁


통제지향 (LIBS) - 관리지향 (PBS) - 기획지향 (PPBS) - MBO - 감축지향(ZBB)

by Schick (행정관리적 예산...을 말한 그 분!)


 


통제지향
LIBS

점증주의

태프트 위원회


지출항목이 명확

책임 확보에 유리하다

의회의 통제에 유리 

재정 민주주의 발달
사업성과 평가가 어려움

투입 중심

환경변화 대응 어려움

사업의 중복!!!

조직의 목표 파악 어려움!!

 

     

성과지향
관리지향
PBS

점증주의

2차 세계 대전 이후
발달 

후버 위원회

관료제 병리 개선 

성과주의!!!

단위사업량 X 단위사업가

국민들의 이해에 도움이 됨

활동별 예산제도 

책임의 분산
평가 대상의 질적인 측면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양적인 것만 계산)

회계책임이 불분명하다 

지출의 근거를 알 수 없음

사업의 성과 파악이 어려움 

 

     

기획지향
PPBS

합리주의

케네디
정부의 맥나마라 

중장기적, 거시적 관점 

장기적인 계획, 
단기적인 예산

하향적!!

n개년에 걸친 계획 

사업단위별 분석 

프로그램별 배분 

책임의 집중
의사결정의 집권화

의회가 이해하지 못함 

권위주의적

 

     

목표관리
MBO

합리주의

상향식 방법론!

다양한 계층의 참여
단기 목표에만 치중함 

시간 소모가 다소 있음 

 

     

감축지향
ZBB

지미 카터 정부

전년도 예산 폐기

과거 예산에 대한 반성 

Re:Zero에서 시작하는
예산모형  

관리자의 참여 확대

참여, 분권화 

모든 사업에 대해서 재사정

의사결정 패키지의 총체 

최고관리자의 효용 증가 
사업축소 및 폐지 

너무 많은 비용이 듦

시간 소모 과다 

경직성 고정 지출이 많으면 효용이 별로 없음 

PPBS에 비해 단기적 x



 

 

     

New
PBS

빌 클린턴 - GPRA

부시 - PART

신공공관리주의 맥락

성과에 대한 계약 

성과를 다음 예산 편성에 반영


발생주의, 복식부기의 활용

개혁이 아니라 정보 제공 ! 

PBS - 광범위한 영향력 

NPBS - 정보의 획득 


공통적인 성과지표 개발 어려움 

정보 과잉 

 

이 파트에서는 서로 말이 비슷비슷해서 헷갈리기 쉽다.
키워드 별로 정리하는 게 핵심!
[3]을 보면 '회계책임의 명확화'가 언급되어있는데, 이건 LIBS! 

PBS의 경우 회계책임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의회 통제에도 불리하다.

각 개념이 약간 겹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LIBS, PBS 모두 의회 심사에 유리하다...) 문제에 따라 상대적으로 접근!


[ㄱ] 모든 패키지를 계산하는 건 너무 힘든 일!
[ㄴ] 모든 정보를 현실적으로 완벽하게 획득하여 분석할 수 없음
[ㄷ] ZBB는 오히려 예산을 유연하게 통제하고자 함 
[ㄹ] 경직성 경비가 많으면 효용이 별로 없다.
[ㅁ] ... [ㄷ]의 연장선상인데, 오히려 경직을 풀어준다.
[ㅂ] 합리주의의 특징 


NPBS와 PBS 등 기타 개혁모델과의 차이점이 조금 헷갈리게 나오는 편!

③ 을 보면, 위의 테이블을 잘 공부했다면 쉽게 파악이 될 것이다. 
PPBS의 주 특징 - 장기적 계획, 단기적 편성


PBS를 비롯한 성과주의 예산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성과에 집착을 하기에(?) 성과와는 거리가 먼 지표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


 

 

조직론에서 나오는 '혁신론'과 용어가 비슷해서 처음 공부할 땐 진~짜 헷갈렸다.

이렇게 그냥 정리해 봤음... 


외국의 재정 개혁


몬가...몬가 왜 이런 문제가 나오냐... 싶지만 그래도 상식 선에서 알아두면 됨

 

미국 클린턴 정부 - GPRA
부시 정부 - PART
영국 대처 내각 - Next Steps
토니 블레어 내각 - Best Value
뉴질랜드 국가부문법 - - ; 뉴질랜드가 개혁이 과감해서 이것도 유명하다 함;
호주 지출심사위원회

영연방만 낼 기세~ ; ㅋㅋㅋㅋ 


우리나라의 재정 개혁과 재정민주주의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의 특이한 점! 하향적이지만, 재량권을 보장해준다.
하향성과 재량권은 반대 개념일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양립 가능~!

기존의 예산 제도 - 상향적이지만, 통제적 (윗선에서 칼로 무 베듯 자름)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 - 하향적이지만, 자율적


예산이라는 건 대단히 예민한 문제~ 따라서 서로 많이 따 내려고 갈등이 심해질 수밖에 ㅎㅎ; 
즉 투명성은 높아지지만, 갈등의 양상이 심화된다는 것!


기획재정부가 한도를 제시하고, 그 한도 내에서 자율편성을 1차적으로 보장함


 

차세대 예산회계시스템 ‘디브레인’ 공부한 尹 디지털 플랫폼 정부

차세대 예산회계시스템 디브레인 공부한 尹 디지털 플랫폼 정부 디지털 플랫폼 정부 준비단, 디브레인 학습 디브레인, 디지털 국가 예산회계 시스템 공무원 정책 결정 지원협업 효율 높여

biz.chosun.com

뭐랄까... 예산과 관련된 거대한 신경망이라고 보면 됨! ㅋㅋㅋ 
노무현 정부부터 추진 됐다는 것도 기억하자!
사실 이  문제가 유일해서 ㅎㅎ; 어떻게 될지 모르것슴~

이날 회의에서는 차세대 디브레인이 보유한 통계와 자료를 비롯해 효과, 시스템 전반적인 정보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다. 정부 관계자는 “각종 경제 및 사회지표들과 재정 데이터를 연계하면 정책 결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디지털 플랫폼 개발도 비슷한 취지인 만큼 차세대 디브레인의 성능과 유발 효과, 연계 등을 알기 위해 열린 설명회였다”고 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준비단이 공부한 디브레인은 성능을 대폭 개선한 ‘디브레인 2.0′ 모델이다. 앞서 정부는 경제·사회지표를 연계해 정책 결정 효과를 높이는 AI 기반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지난 2019년, 기존 디브레인을 업그레이드하는 차세대 디브레인 구축 사업을 추진했다. 디브레인 2.0은 지난 1월 개통을 완료했다. 총사업비만 1561억원에 달한다.
차세대 디브레인의 특징은 데이터와 연계(Networking), 인공지능(AI)이다. 데이터 경우 차세대 디브레인을 통해 연계되는 지표는 7890개에 달한다. 기존 디브레인에서 분석했던 예산과 결산 데이터 등 2441개 중앙 재정지표에 지방 재정, 교육, 관광, 환경 등 외부 지표 5449개가 추가됐다. 또 AI를 활용해 각종 자료를 연계, 실시간 점검이 필요한 정보의 경우 자동으로 경고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현재 디브레인은 공무원 약 6만여명이 사용하고 있다.

박성우 기자
입력 2022.06.28 10:49

재정민주주의 관련한 문제에서는, 납세자소송이 빈출 대상이다!

자주 나오는 선지!

납세자소송은 지자체를 피고로 삼아 가능할 뿐, 중앙정부를 대상으로는 ㄴㄴ 


참여예산제도도 자주 나온다~.
브라질의 '포르투 알레그리'시가 자주 출제되니 기억!
우리나라의 경우 광주광역시 북구 의회에서 최초로 시행!

그리고 이름에서도 느껴지는바, 과정 이념을 중시한다. (③)


이건 나중의 지방자치론에서 나오는 개념~


경간 문제라 나온지 문제가 정말 지독한데 ㅡㅡ; 『지방재정법』이다! 
중앙정부에 『국가재정법』 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 ㅎㅎ


지방정부는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시행했지만,
국민참여를 목적으로 하는 중앙정부참여예산제도는... 최근에 시행!